나무의사란 나무의 피해를 진단 및 처방하고 그 피해를 예방하거나 진료를 담당하는 전문가로 산림보호법 제21조의6 제1항에 따라 나무의사 자격증을 발급받은 사람입니다.
병원에서 의사가 질병 치료 목적으로 처방전을 발급 하듯이 나무의사도 나무 피해를 치료하기 위한 처방전을 발급하는 것이 가능합니다. 나무의사가 발급한 처방전을 가지고 실제로 예방과 치료를 하는 전문가를 수목치료기술자라고 합니다.
나무의사 자격은 2019년부터 발급하기 시작하였으며 2022년 8월 기준 전국적으로 739명의 나무의사 자격을 보유한 사람이 있습니다.
합계 | 2019년 | 2020년 | 2021년 | 2022년 |
739명 | 52명 | 233명 | 249명 | 205명 |
대한민국 대표 산림정보 사이트 Forest Times에서 나무의사 응시자격과 시험과목, 시험일정을 확인하셔서 나무의사 자격증 취득에 도전해보시기 바랍니다.
나무의사가 되는 방법
나무의사가 되려면 두 가지 조건을 충족해야 합니다. 첫 번째는 나무의사 양성기관에서 약 150시간의 교육을 이수해야 하며, 나무의사 자격시험에 합격해야 합니다.
기본적으로 수목진료 관련분야 전공자나 수목치료기술자 중 경력자, 산림 및 조경분야 자격 소지자에 해당하며 자세한 나무의사 응시자격은 아래 정보를 확인하세요.
나무의사 응시자격
나무의사 자격시험에 응시하기 위해서는 나무의사 응시자격 충족해야 합니다. 아래 7가지의 응시자격에 해당하는지 확인해보시기 바랍니다.
- 고등교육법 제2조 각 호의 학교에서 수목진료 관련 학과의 석사 또는 박사 학위를 취득한 자
- 고등교육법 제2조 각 호의 학교에서 수목진료 관련 학과의 학사학위를 취득한 자 또는 이와 같은 수준의 학력이 있다고 인정되는 자로서 해당 학력을 취득한 후 수목진료 관련 직무분야에서 1년 이상 실무에 종사한 자
- 초·중등교육법 시행령 제91조에 따른 산림 및 농업 분야 특성화고등학교를 졸업한 후 수목진료 관련 직무분야에서 3년 이상 실무에 종사한 자
- 국가기술자격법에 따른 산림기능사 또는 조경기능사 자격을 취득한 후 수목진료 관련 직무분야에서 3년 이상 실무에 종사한 자
- 수목치료기술자 자격증을 취득한 후 수목진료 관련 직무분야에서 4년 이상 실무에 종사한 자
- 수목진료 관련 직무분야에서 5년 이상 실무에 종사한 자
- 다음 각 목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자격을 취득한 자
- 국가기술자격법에 따른 산림기술사, 조경기술사, 산림기사, 산림산업기사, 조경기서, 조경산업기사, 식물보호기사, 식물보호산업기사 자격
- 자격기본법에 따라 국가공인을 받은 수목보호 관련 민간자격으로서 자격기본법 제17조 제2항에 따라 등록한 기술자격
- 문화재수리 등에 관한 법률에 따른 문화재수리기술자(식물보호 분야) 자격
✅ 수목진료 관련 학과란 조경과, 농업과, 임업과 및 수목의 피해를 진단 및 처방하고, 그 피해를 예방하거나 치료하는 활동과 관련 된 학과로서 산림청장이 별도로 정하는 학과를 말함.
✅ 수목진료 관련 직무분야란 나무병원, 나무의사 양성기관 등 수목피해 진단, 처방, 치료와 관련 된 사업 분야로 산림청장이 별도로 정하여 고시하는 분야를 말함.
✅ 나무의사 양성기관에서 150시간의 교육이수를 해야 나무의사 자격시험 응시자격이 주어집니다.
나무의사 시험과목
나무의사는 국가전문자격으로 한국임엄진흥원(KOFPI)에서 자격증을 발급하고 관리합니다. 나무의사 자격시험은 1차 객관식 5지택일형 시험과 2차 논술형 및 단답형 시험으로 나누어 집니다.
1차 시험
시험과목 | 시험방법 | 배점 | 문항수 |
수목병리학 |
객관식 5지 택일형 |
100점 | 25 |
수목해충학 | 100점 | 25 | |
수목생리학 | 100점 | 25 | |
산림토양학 | 100점 | 25 | |
수목관리학 | 100점 | 25 |
2차 시험
시험과목 | 시험방법 | 배점 | 문항수 |
수목피해 진단 및 처방 | 서술형 필기시험 | 100점 | – |
수목 및 병해충의 분류, 약제처리와 외과수술 | 실기시험 | 100점 | – |
2023년 나무의사 시험일정
나무의사 시험은 일반적으로 1년에 1차, 2차 각각 2번씩 총 4번의 시험 기회가 있습니다. 2022년 기준 제6회 나무의사 자격시험 2차 시험부터 제8회 나무의사 자격시험 1차 시험이 있었습니다.
2023년 처음 시험을 준비한다면 제9회 나무의사 자격시험 1차를 준비해야 하며 2023년 5월에 접수해야 합니다.
나무의사 전망 좋은 편 입니다. 전국적으로 나무의사가 적기 때문에 본인의 노력 여부에 따라 충분히 나무의사로써 기량을 펼칠 수 있습니다.
아직까지 나무의사를 고용의 형태로 구인하는 경우는 드물기 때문에 나무의사 연봉 정보는 없습니다. 일반적으로 나무의사 법인을 시작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나무의사 합격률은 1차 필기시험의 경우 13% 정도이며 2차 실기시험 합격률은 약46% 입니다.
✅ 나무의사 자격시험 원서접수 유의사항 확인 (2023년 4월 11일 공고)
포레스트 타임즈 산림 자격 |
포레스트 타임즈에서는 임야 관련 문의 사항과 임야 소유자들의 정보 공유를 위해서 네이버 카페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포레스트 타임즈 네이버 카페에 방문해서 더 많은 정보를 확인하고 궁금한 점을 문의해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