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림분야 사회적 경제 기업 지속적 상승세

Date:

포레스트 타임즈

포레스트 타임즈 인기글

산림분야 사회적 경제 기업 지속적 상승세로 작년 대비 연 매출액이 25% 상승한 666억을 기록했다. 산림분야 사회적 경제 기업은 산림청에서 산림분야 사회적경제 활성화를 위하여 2012년부터 발굴 및 육성하고 있는 기업이다.(사회적 경제 기업: 산림분야의 사회적 기업, 예비 사회적 기업, 사회적 협동조합)

각 기업마다 성장 속도가 다르기 때문에 산림청에서는 발굴부터 성장, 생태계 조성의 단계별 지원 체계를 통해 꾸준히 발굴 및 육성을 해왔다.

그 결과 최근 5년 간 산림분야 사회적 경제 기업의 연매출액은 301억원부터 2022년도 666억원까지 꾸준히 상승하였으며, 기업수 역시 2018년 120개에서 2022년 287개로 239% 증가했다.

  • 발굴 단계: 산림분야 사회적경제 기업가 육성 아카데미, 산림분야 청년 사회문제 연구회(포레스트 청년 소셜챌린저)추진, 지역상생형 산림특화 사회적경제 모델 고도화, 국유림 영림단의 사회적경제 기업 전환
  • 성장 단계: 산림분야 사회적경제 기업 대상 통합컨설팅과 판로지원 사업 추진, 사회적 기업 인증 자문(컨설팅), 판로 전략 수립 등
  • 생태계 조성: 사회적 경제기업과 SK임업같은 민간기업, 한국산림복지진흥원, 한국수목원정원관리원 등의 공공기관과 협업사업 및 기업 간 협력망 구축

심상택 산림사업정책국장은 “사회적 경제는 지역의 산림을 활용하고 임산물을 소비하며 지역주민과 함께 더불어 살아갇나는 의미에서 산촌경제 활성화에 잘 맞는 기업 형태라고 생각한다”라며, “산림청은 산림분야 사회적경제 기업이 잘 성장하여 안착 할 수 있도록 매출 증대 지원에도 힘쓰겠다”라고 말했다.

포레스트 타임즈 카페 방문하기


LEAVE A REPLY

Please enter your comment!
Please enter your name here

Share post:

Popular

More like this
Related

걷기 좋은 둘레길 50곳 영상과 지역별 위치 정보

걷기 좋은 둘레길 50선 알고 계신가요? 2023년은 국토녹화 50년이...

임야 분묘기지권와 무연고 묘지 처리방법 3가지 법률 조항

무연고 묘지 처리방법에 대해서 알고 계신가요? 분묘기지권 때문에 무연고...

임야 개발행위 인허가 대표적인 3가지 절차

임야 개발행위를 위해서는 대표적으로 3가지 인허가를 득해야 합니다. 이번...

매거진숲 구독 방법(대기 불필요)

매거진숲 구독 신청을 굉장히 많은 분들이 하고 계십니다. 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