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도 새로운 명칭 공모

Date:

임도 새로운 명칭 공모를 산림청에서 시행합니다. 2023년 4월 17일부터 2023년 5월 12일까지 진행하는 이번 공모전은 최우수, 우수, 장려의 시상과 문화상품권을 지급합니다.

임도란 무엇일까요? 포레스트 타임즈를 구독하고 있다면 쉽게 알 수 있는 내용인데요. 이번 공모전을 통해 임도의 정의에 대해서 명확하게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임도의 새로운 명칭을 정하기 위해서는 임도가 무엇인지, 어떤 용도로 사용 되는지를 확실하게 알아야 임도를 대표할 수 있는 알맞은 명칭을 생각할 수 있습니다.

포레스트 타임즈 인기글

임도 정의

임도란?

임도의 정의는 산림자원의조성및관리에관한법률(약칭: 산림자원법)에서 정하고 있습니다. 임도의 정의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산림의 범위를 확인해야 합니다. 임도는 산림의 범위에 포함되기 때문입니다.

1. “산림”이란 다음 각 목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것을 말한다. 다만, 농지, 초지(草地), 주택지, 도로, 그 밖의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토지에 있는 입목(立木)ㆍ대나무와 그 토지는 제외한다.

  1. 집단적으로 자라고 있는 입목ㆍ대나무와 그 토지
  2. 집단적으로 자라고 있던 입목ㆍ대나무가 일시적으로 없어지게 된 토지
  3. 입목ㆍ대나무를 집단적으로 키우는 데에 사용하게 된 토지
  4. 산림의 경영 및 관리를 위하여 설치한 도로[이하 “임도(林道)”라 한다]
  5. 가목부터 다목까지의 토지에 있는 암석지(巖石地)와 소택지(沼澤地: 늪과 연못으로 둘러싸인 습한 땅)

임도의 목적은 산림의 경영 및 관리를 위한 것이며 일반적인 지목이 도로인 것과는 다르게 지목이 임야입니다. 따라서, 임도를 사용해서 일반적인 건축허가 등을 받을 수 없습니다. (✅ 임도란 무엇일까? 도로가 아닌 두 가지 이유)

즉, 이번 공모전에서 임도를 도로 개념으로 이해하기 보다는 산림의 경영 및 관리를 위한 것으로 초점을 두고 생각하는 것이 공모전의 취지와 맞습니다.

임도 새로운 명칭 공모

공모 대상은 별도 제한 없이 국민 누구나 할 수 있으며 1인 2점까지 공모가 가능하며 2점 중 높은 점수를 받은 것만 인정하게 됩니다.

선정기준

이번 공모전의 심사방법과 선정기준을 확인해야 좋은 점수를 받을 수 있습니다. 심사방법은 내, 외부 위원으로 구성 된 심사위원회에서 결정하며 선정기준은 아래와 같습니다.

구분 배점 세부항목
대표성 40점 임도의 목적 및 의의 등을 대표하는 지여부
상징성 30점

산림의 기능을 유지하고 보호하기 위한 의미 부각 여부, 임도의 다양한 기능을 고려한 상징적인 명칭인지 여부

대중성 30점 친근하고 기억하기 쉬운 명칭 여부

배점이 가장 높은 것은 대표성으로 임도의 목적 및 의의 등을 대표해야 합니다. 즉, 산림의 경영 및 관리를 위해 설치하는 임도의 목적에 초점을 두어야 합니다.

시상내역

시상인원은 총 4명으로 각각 최우수 1명, 우수 1명, 장려 2명을 시상하게 되며 총 상금은 170만원 입니다.

구분 인원 시상금
최우수 1명 문화상품권 100만원
우수 1명 문화상품권 50만원
장려 2명 문화상품권 각 10만원

유의사항

이번 임도 명칭 공모 시 아래 유의사항을 잘 확인해서 접수하시기 바랍니다.

임도

공모 참가 신청서 다운로드

임도 새로운 명칭 발굴 공모전 참가 신청서를 다운로드하여 작성전자우편으로 제출하면 됩니다. 메일 제목의 경우 “임도 새로운 명칭 공모_지원자000“으로 보내야 함을 유의하세요.

  • 제출: msunsu@korea.kr

[임도 새로운 명칭 발굴 공모전 당선작]

임도 새로운 명칭 발굴 공모전 당선작은 산림도로, 산림기반도로, 산림경영도 입니다. 우수상이 “산림도로” 라니 정말 어처구니가 없는 공모전이네요.


포레스트 타임즈 카페 방문하기

LEAVE A REPLY

Please enter your comment!
Please enter your name here

Share post:

Popular

More like this
Related

용인산림교육센터 숙박시설, 교육프로그램 예약 방법

용인산림교육센터 알고 계신가요?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에 위치한 산림교육 시설로서...

걷기 좋은 둘레길 50곳 영상과 지역별 위치 정보

걷기 좋은 둘레길 50선 알고 계신가요? 2023년은 국토녹화 50년이...

임야 분묘기지권와 무연고 묘지 처리방법 3가지 법률 조항

무연고 묘지 처리방법에 대해서 알고 계신가요? 분묘기지권 때문에 무연고...

임야 개발행위 인허가 대표적인 3가지 절차

임야 개발행위를 위해서는 대표적으로 3가지 인허가를 득해야 합니다. 이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