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강 탄소상쇄 숲 탄소흡수원 역할 ‘톡톡’

Date:

한강 탄소상쇄 숲 이란 2017년부터 2018년까지 국립산림과학원과 서울특별시 등 5개의 기관 및 시민이 직접 참여하여 나무가 없던 서울 강서한강공원에 나무를 심어 조성한 숲이다. 주요 수종은 포플러나무로 2,700여 그루를 식재하였다.

포플러나무는 다른 나무보다 빠르게 성장하고 이산화탄소를 흡수하고 저장하는 능력이 우수하여 다른 나라에서도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탄소흡수원 숲으로 많이 조성하고 있는 나무이다.

최대 6,500톤 탄소 흡수 기대

서울 강서한강공원에 조성 된 한강 탄소상쇄 숲 내 포플러나무는 2017년 조성한 곳의 평균 나무 높이는 14.3m 였으며 평균 직경은 18cm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2018년 조성한 곳의 평균 나무 높이는 12.7m 였으며 평균 직경은 17.6cm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처럼 빠르게 성장하는 포플러나무는 나무 한 그루 당 약80kg을 저장하는 것으로 조사(온실가스종합정보센터)되었으며, 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에서 조사 결과 한강 탄소상쇄 숲은 지금까지 약220톤의 탄소를 흡수한 것으로 밝혀졌다.

한강 탄소상쇄 숲은 현재까지 5.7ha(약17,000평)가 조성 완료 되었으며, 식재 된 포플러나무가 다 자라는 20년 후에는 최대 6,500톤의 탄소를 흡수 할 것으로 기대된다.

포레스트 타임즈 인기 기사

산림 관련 뉴스는 Forest Times에 제보 바랍니다.

LEAVE A REPLY

Please enter your comment!
Please enter your name here

Share post:

Popular

More like this
Related

용인산림교육센터 숙박시설, 교육프로그램 예약 방법

용인산림교육센터 알고 계신가요?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에 위치한 산림교육 시설로서...

걷기 좋은 둘레길 50곳 영상과 지역별 위치 정보

걷기 좋은 둘레길 50선 알고 계신가요? 2023년은 국토녹화 50년이...

임야 분묘기지권와 무연고 묘지 처리방법 3가지 법률 조항

무연고 묘지 처리방법에 대해서 알고 계신가요? 분묘기지권 때문에 무연고...

임야 개발행위 인허가 대표적인 3가지 절차

임야 개발행위를 위해서는 대표적으로 3가지 인허가를 득해야 합니다. 이번...